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공식선거운동 시작 전 한동훈 위원장이 이슈를 던졌습니다.<br> <br>아는기자, 정치부 김민지 차장과 함께 들여다 보겠습니다. <br><br>Q1. 국회의사당을 이전하겠다, 오늘 깜짝 기자회견으로 발표했죠? <br><br>네. 어젯밤 오늘 아침 긴급 기자회견을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취임 후 첫 기자회견이라 기자들도 내용에 관심이 컸는데요. <br> <br>"세종시를 미국의 워싱턴 DC처럼 진정한 정치 행정의 수도로 완성하게 될 것"이라며 국회 이전을 들고 나온 거죠. <br> <br>여러 판세가 불리한 상황에서 공식선거운동 시작 전날 일단 정책 승부수를 던졌다 이렇게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<br><br>Q2. 일단 왜, 많은 이슈 중 이걸 던진 거예요? <br><br>당에 물어보니 급조한 건 아니고 한달 전부터 검토했던 것이라고 하더라고요. <br> <br>여러 안 중에 서울과 충청의 표심을 동시에 공략할 수 있는 윈윈 정책이라고 판단했습니다.<br> <br>먼저 서울엔 '개발'을 약속했죠.<br> <br>한동훈 위원장 "국회가 있는 서여의도가 반세기동안 75m 고도제한에 묶여 있었다"며 "권위주의적인 규제를 모두 풀겠다"고 약속했습니다.<br> <br>말 그대로 서울의 '노른자' 땅인 "여의도와 주변의 개발 제한을 풀어서 파리 오르세 미술관 같은 전시관도 들여오고 높은 빌딩의 금융 허브도 만들고 한강벨트를 개발해서 시민에게 돌려주겠다는 겁니다.<br><br>Q3. 사실 기대감은 충청이 더 클 것 같은데요. <br><br>네. 사실 이번 선거 충청에 마땅한 대형 이슈가 없었거든요. <br> <br>국민의힘 내부적으로는 충청 표심이 박빙인 상황에서 세종시를 워싱턴 DC 처럼 만들겠다는 공약은 표심을 흔들 거라는 판단입니다.<br> <br>국민의힘 관계자에게 물어보니 국회가 세종시로 가게 되면 "국회의원이나 보좌관들도 세종에 살고 당사도 다 세종으로 옮기는 것"이라며 충청지역에 활력을 줄 것이란 기대감을 보였습니다.<br> <br>Q4. 대통령실도 바로 입장을 냈더군요. <br><br>네. 대통령 제2집무실을 세종시에 설치하겠다는 게 대통령 공약이거든요. <br> <br>대통령실은 오늘 오후 세종시 설치에 속도를 내라고 관계기관에 지시하면서 한 위원장에 힘을 보탰습니다. <br> <br>Q5. 실제로 파급력이 얼마나 있을까요. <br><br>국민의힘은 내심 20여 년 전 파괴력을 기대하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2002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 후보가 "수도를 충청으로 옮기겠다"는 공약을 냈고 대선을 치렀죠.<br> <br>3개월 뒤 대선에서 노무현 대통령, 충청에서 과반을 얻으며 당선됐고요. <br> <br>이명박, 박근혜 정권까지 10년 가까이 충청 지역 최대 이슈였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일각에서는 어차피 지난해 10월 국회 상당수가 내려가기로 법이 통과된 이상 큰 파괴력은 없을 거라는 관측도 있습니다. <br> <br>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이런 기대도 나타냈습니다. <br> <br>그동안 수세에 몰려 있었는데 한 위원장이 주도할 수 있는 새 이슈를 던졌다는 것만으로도 반전의 기회가 생겼다고요.<br><br>Q6. 민주당은 한 위원의 제안에 환영한다, 화답을 했던데요. <br><br>네 맞습니다. <br> <br>민주당 환영하면서 "얼마든지 언제라도 논의하자"고 했습니다. <br> <br>"민주당이 먼저 추진했던 것"이라며 "오히려 소극적이었던 국민의힘이 방향을 선회한 것"이라고 더 공세적으로 나섰습니다. <br> <br>반대를 할 경우 충청 표심에 악영향이라는 분석인 거죠. <br> <br>내부 이야기 들어보면 복잡한 속내도 엿볼 수 있는데요. <br> <br>그동안 민주당이 주도했던 이슈인데 주도권을 뺏긴 측면도 있으니까요. <br> <br>그래서 총선용 공약 아니냐는 공격도 동시에 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이재명 대표가 "'선거에 이기면 하겠다'는 건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"라고 비판한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.<br> <br>Q7. 그렇다면, 여의도 국회, 진짜로 충청으로 갈 수는 있는 건가요? <br><br>확신할 순 없습니다.<br> <br>지난 대선 여야 후보 모두 공약이었지만 안 지켜졌으니까요. <br> <br>하지만 당사자인 여야 국회의원들이 총선 공약으로 내건 이상 가능성은 더 커졌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. <br> <br>Q. 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.<br> <br>연출 : 성희영PD 여서희 PD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j@ichannela.com